김아랑의 '노란 리본' 비난한 MBC 김세의 기자

조회수 2018. 2. 19. 20:1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MBC 김세의 기자가 쇼트트랙 김아랑 선수의 헬멧에 부착된 노란 리본을 비난했습니다. 지난 18일 김 기자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아랑 선수에게 묻고 싶다”라며 “세월호 침몰에 대한 추모인가, 박근혜 정부의 책임도 함께 묻기 위함인가”라는 글을 올렸습니다.

출처: 페이스북 화면 캡처
김세의 기자는 김아랑 선수의 헬멧에 새겨진 노란리본이 올림픽 헌장을 위반하며, 박근혜 정부의 책임을 묻기 위함이 아니냐는 글을 올렸다

김세의 기자의 노란 리본 비난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그는 2017년에도 프로야구 이대호 선수의 글러브에 부착된 노란 리본을 가리켜 “정치적 의사 표현”이라며 “스포츠 현장에서 정치적 표현은 바람직한가”라는 글을 올린 바 있습니다. 이전에는 세월호 유가족들을 비난하는 일로 유명한 극우커뮤니티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를 옹호하며 논란에 빠지기도 했습니다.


사실 노란 리본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쪽은 김 기자 본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 김아랑 선수의 사례만 봐도 그렇습니다. 그는 굳이 “박근혜 정부의 책임도 함께 묻”는 것이냐며, 박 전 정부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치적 시비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러나 김세의 기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올림픽 헌장 50조에 따르면 ‘그 어떤 정치적, 종교적 선전도 금지’가 있네요”라며, “판단은 여러분들께서 해달라”고 글을 올렸죠. 김 기자가 판단해달라고 했으니, 올림픽에서 벌어졌던 사건을 통해 판단을 해보고자 합니다.

인종차별 반대 외친 ‘검은 장갑’ 퍼포먼스


1968년 멕시코올림픽 육상 남자 200m에서 미국의 토미 스미스 선수는 금메달을, 존 카를로스 선수는 동메달을 땄습니다. 시상식에서 미국의 국가가 연주되자 갑자기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는 고개를 숙인 채 검은 장갑을 낀 주먹을 번쩍 들었습니다.

두 선수의 행동은 흑인 인권 운동을 상징하는 경례 방식이자 미국의 인종 차별에 항의하는 퍼포먼스였습니다. 당시 미국은 흑인과 백인이 같은 식수대에서 물을 마시거나 같은 버스를 타지 못할 정도로 인종 차별이 심했습니다.


시상식에서 스미스가 착용한 검은 장갑은 ‘우리는 흑인이다’라는 표현이었고, 검은색 양말은 흑인의 가난을 상징했습니다. 스미스가 손에 든 상자에 담긴 올리브 나무 묘목은 평화를 의미했습니다. 


은메달리스트였던 호주의 피터 노먼 선수도 미국 선수들의 인종 차별 항의에 동참하기 위해 “Olympic Project For Human Rights”(인권을 위한 올림픽 프로젝트) 배지를 가슴에 달았습니다. 


원래 검은 장갑은 스미스와 카를로스 모두 착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카를로스가 장갑을 가지고 나오지 않았고 피터 노먼 선수가 나눠서 끼는 것이 어떠냐는 제안을 했습니다. 검은 장갑은 세 선수의 마음과 아이디어가 합쳐진 퍼포먼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명당한 검은 장갑, 그러나 영원히 기억되는 선수들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다음날 올림픽 숙소에서 쫓겨났습니다. 두 선수는 미국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백인 우월주의 단체들의 비난과 토마토 세례를 받기도 했습니다.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는 이유였습니다. 그들은 그 이유로 미국육상연맹에서 제명을 당하기도 했습니다.

피터 노먼이 사망한 10월 9일을 피터 노먼의 날로 기리자는 포스터.

호주의 피터 노먼 선수도 인종차별 항의에 동참했다는 이유로 육상계에서 배척을 받았습니다. 특히 피터 노먼은 호주 신기록 보유자임에도 올림픽 출전에서 제외되는 차별과 수모를 당했습니다.


2006년 피터 노먼이 사망하자, 스미스와 카를로스는 장례식에 참석해 관을 들었습니다. 2012년 호주 의회는 뒤늦게 공식적인 사과를 했습니다. 미국육상연맹은 피터 노먼이 죽은 10월 9일을 ‘피터 노먼 데이, 인권의 날’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피터 노먼은 지금도 ‘위대한 은메달리스트’, ’세상에서 가장 위대한 2등’으로 불리며 기억되고 있습니다.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라는 이유로 검은 장갑과 피터 노먼 선수를 탄압했던 행위가, 얼마나 차별주의적인 발상이었는지 이제 세계가 알게 됐기 때문입니다. 



올림픽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류애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 등장했던 세 명의 인물을 보면 올림픽과 정치의 연관성이 쉽게 이해됩니다.

좌측부터 에딘버리 브런디지 IOC 위원장, 1936년 베를린올림픽 제시 오언스, 손기정 선수.

가장 먼저 에딘버리 브런디지 IOC 위원장입니다. 브런디지는 1968년 멕시코올림픽에서 검은 장갑 퍼포먼스를 벌인 미국의 토미 스미스와 존 카를로스를 추방한 인물입니다. 하지만 브런디지는 1936년 베를린올림픽 때 아돌프 히틀러 앞에서 나치식 경례를 했던 친나치 인사였습니다.


독일의 히틀러는 베를린 올림픽을 통해 아리안 인종의 우수성을 적극적으로 알리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100m, 200m, 400m계주, 멀리뛰기 종목에서 우승하여 4관왕을 달성한 선수는 제시 오언스라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습니다. 그의 이야기는 <레이스>라는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마지막 인물은 우리도 잘 아는 손기정 선수입니다. 일제 강점기에 일장기를 달고 출전해 금메달을 딴 손기정 선수는 베를린에서 사인할 때는 꼭 한국이름을 썼으며, 옆에 한반도 지도를 그렸습니다. 


MBC 김세의 기자가 올림픽 헌장 50조를 운운하며 김아랑 선수의 노란 리본을 비난하는 모습을 보면, 히틀러에 협력해 놓고 “올림픽이 정치적으로 오염돼선 안 된다”고 했던 에딘버리 브런디지가 떠오릅니다. 


올림픽의 본질은 인류애입니다. 인류애를 실현하려던 선수들을 “올림픽을 정치적으로 이용했다”고 비난하는 이들의 마음속엔 무엇이 있을까요. 그들이 외치는 ‘정치적으로 깨끗한 스포츠’가, 진정으로 인간의 존엄을 생각하며 인류를 사랑하는 스포츠인지 의문입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