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거주지로 목성·토성이 희박한 이유

조회수 2021. 2. 15. 15:48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파이낸셜뉴스의 두유노우가 알려드립니다
우주생명체는
있을까?
출처: giphy

넓고 넓은 우주에서

지구에만 생명체가 살까요?

아니면 SF영화에는 자주 등장했던

우주생명체가 정말 존재할까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인류는 오랫동안 탐구해왔어요

그 결과 천문학자들은

4천개가 넘는 행성을 발견했고

이중 24개의 행성에는

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생명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 중

2가지를 충족했기 때문인데요

첫 번째 조건은

태양처럼 빛을 내는 항성으로부터

너무 멀지도 않고 가깝지도 않은

적절한 거리에 있어야 합니다

항성과 행성?
밤하늘에서 위치가 변하지 않는 별들을 항성이라고 부릅니다. 태양처럼 스스로 빛을 방출하죠. 반면에 밤하늘의 별자리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 별들은 돌아다니는 별이라 해서 행성이라고 부른답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예를 들어

태양계에 있는 여러 행성들 가운데

수성과 금성은 태양과 너무 가깝기 때문에

뜨거워서 생명체가 살기 어렵고

반대로 목성과 토성은

태양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춥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지 못하죠

두 번째 조건은

지구와 같은 암석형 행성

지구와 비슷한 질량과 크기

갖춰야 한다는 점입니다

목성이나 토성처럼

(=추워서 살기 힘들다고 했던 행성)

기체로 이뤄진 행성은 땅의 표면이 없어

생명이 존재할 수 없거든요

또한

지구보다 크거나 작다면

중력의 영향이 지나치게 크거나 작아

생명체가 살아가기 어렵습니다

그럼
어떻게 찾지?

우주생명체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니

이제 직접 눈으로 보고 싶겠죠?

이런 바람을 담아 천문학자들은

세티(SETI)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우주생명체들이

전파를 보낸다는 가정 하에

대형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그 신호를 탐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1974년엔 지구에서 외계로

전파를 쏘아 올리기도 했는데요

수십만 개의 별들이 모여있는

성단 M13로 3분간 신호를 보냈죠

하지만 아직까지

외계에서 보냈을 만한 신호가

도착하지는 않았다고 하네요

대형 전파망원경 말고도

우주생명체를 찾는 도구가 있습니다

지구 밖으로 쏘아 올린 망원경인데요

2018년 은퇴한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골디락스에서

지구만 한 암석형 행성 10개를 발견했고

이중 두 개는

우주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케플러의 뒤를 이어

지금은 테스 우주망원경이

행성을 열심히 찾고 있고

10월에는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새롭게 궤도에 오릅니다

그 밖에도

우주탐사선과 화성 탐사로봇도

생명체의 흔적을 찾고 있어요

지금까지는
가능성만 언급됐는데
출처: giphy

우주생명체를 찾고자

오랜 시간을 노력했지만

아쉽게도 아직까지는

발견하지 못했어요

UFO를 촬영했다는 영상은

예전부터 꾸준히 나오고 있지만

이 또한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죠

하지만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말에 담긴 의미처럼

우리와 같이 우주생명체를 찾는

이들이 어딘가에는 있지 않을까요?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영상에서 확인하세요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