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통계에서 알아본 소득수준과 부동산 투자 황금비

조회수 2020. 5. 27. 09:07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Remark]주목해야 할 부동산 정보/

남들과 비교해서 부족한 게 많아 보인다면 자신의 ‘자산(돈)’ 흐름을 잘 모르기 때문입니다. 2020년을 잘 살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보통사람들의 금융, 부동산 등의 자산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20’를 통해서 알아보고 남은 2020년을 슬기롭게 해쳐나가 볼까요?

[Remark] 우리는 모두 보통사람.

내 가구 소득은 어느 정도 수준일까? 


시장조사기관 NICE디앤알 리서치 자료를 기초로 작성된 신한은행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2020’에 따르면 지난해 월 평균 가구소득은 486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2018년(476만원) 보다는 10만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가구 총소득을 순서대로 20%씩 5개로 나눈 구간을 ‘가구소득구간‘이라고 하는데 각각 △1구간 189만원 △2구간 319만원 △3구간 453만원 △4구간 566만원 △5구간 902만원으로 구분됩니다. 1~5구간 모두 보통사람입니다. 


단지 평균 소득만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자신은 어떤 구간에 해당하시나요? (조사 및 표본: 2019년 9월~10월, 전국 만 20세~64세 경제활동자를 대상 이메일 조사 결과. 표본수는 1만명)

[Remark] 고소득으로 갈수록 쌓이는 잉여자금… 재투자도 가능해

보통사람들은 월평균 가구 총 소득(486만원)에서 49.6%를 소비로 지출했으며 24.1%를 저축이나 투자에, 8.4%를 부채상환에 썼습니다. 


그에 따라 소득의 17.9%는 잉여자금으로 남겨 놓았습니다. 총소득은 10만원 늘었지만 소비는 2018년에 비해 3만원 정도 늘어났는데 이는 소득이 많이 늘지 못하다 보니 지출도 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이 상위 20%에 있는 이들은 소득금액에서 22.8%를 잉여자금으로 남겼습니다. 다른 소득구간에 있는 이들이 9~16% 정도를 잉여자금으로 남겨 둔 것에 비해 높은 수준이죠.


잉여자금은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소득상위 구간의 경우 잉여자금이 많기 때문에 투자포트폴리오를 다양하게 짤 수 있습니다. 때문에 소득중위 또는 하위 구간에 비해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합니다. 

[Remark] 기혼가구 비중이 많아지는 소득상위 5구간… 교육비 지출도 많아져

소득수준에 따라 소비 항목들의 비중도 달라지는데 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눈에 띕니다. 소득하위 1구간에서는 교육비가 월 소비액(99만원)의 3%인 9만원을 차지했는데 소득상위 5구간은 월 소비액(410만원)의 총 14.6%인 60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가계소득이 높아질수록 기혼 가구 비중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자녀의 교육비로의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자녀계획에는 효과적인 교육비에 대한 계획도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Remark] 저축 총액 변화는 미미… 안정성 금융상품 증가

지난 1년 저축 총액은 평균 1만원 증가하는데 그쳤습니다. 반면 적금/청약 비중이 상대적으로 눈에 띄게 늘었습니다. 매년 청약통장가입자가 증가하고 있고 부동산시장에서 분양시장이 특히 호조를 보이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결과 입니다.


적금, 청약, 보험 등의 금융상품의 비중이 74.3%(41.0%+33.3%)로 1년사이 3.6% 증가하면서 안정성을 더 중시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Remark] 부동산 자산 규모 증가가 총 자산 증가에 큰 영향 끼쳐

2019년 경제활동 가구의 총 자산은 4억1997만원입니다. 2018년(4억39만원)에서 크게 늘었는데요. 부동산자산이 2018년 3억386만원에서 2019년 3억1911만원으로 늘어나면서 총 자산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됩니다.


소득구간으로 보면 부동산자산 비중은 확연하게 구분됩니다. 상위소득으로 갈수록 부동산자산 비중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5구간은 자산의 78.7%를 부동산이 차지합니다. 이에 대해 부동산자산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도 물론 나오고 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겁니다. 1구간처럼 부동산 50%, 금융자산 약 30%, 기타자산 약 20% 정도 등 부동산에 쏠린 자산 비중을 분산시키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Remark] 부동산 선택 시 서울 사람과 광역시 사람은 ‘투자가치’… 경기인천 사람은 ‘교통’

보통사람들의 부동산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서울과 지방광역시 등의 대도시 거주자들은 ‘투자가치’를 1순위로 꼽았습니다. 


대도시는 교통 등 인프라가 대체로 잘 갖춰 있기 때문에 다른 항목보다는 투자가치에 더 관심을 갖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반면 경기 및 인천지역 거주자들은 ‘편리한 교통’을 가장 최우선으로 꼽았습니다. 서울보다 교통인프라가 불편한 현 상황이 반영된 응답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편 상승률이 얼마면 3년 후에 아파트를 팔 의향이 있느냐를 묻는 물음에는 모든 지역에서 최소 적어도 20% 이상 상승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서울 응답자는 25% 이상, 즉 10억원 아파트라면 2억5000만원 정도는 올라야 팔겠다는 것입니다. 다만 실제로 팔지는 두고 봐야 할 것입니다. 더 오르길 기다리면 주저할 가능성도 높으니까요.

[Remark] 지출 비중과 문제를 찾아야 남들과 달라진다

현재를 살고 있는 보통사람들은 가구소득이 늘면서 부동산 자산 비중이 커지고 안정적인 금융상품을 더 선호하고 있습니다. 교육비 지출 비중도 커지고 있습니다. 연령대, 자산, 기혼(미혼)여부 등에 따라 지출 비중이 달라지는데 이를 잘 알아야 효과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거비 부담은 많은 연령대에서 고민하는 부분인데요. 이는 임대주택 등으로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공공임대, 민간임대 등 임대주택 공급증가는 반가운 소식일 것입니다.


현재보다 더 나은 미래를 원한다면 남들과 똑같이 벌어도 똑같이 소비하면 안됩니다. ‘슬기로운 소비’를 위한 지출현황 및 계획표를 ‘지금’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