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깅스 입고 등산 열풍?.. 아웃도어는 여전히 어렵다

조회수 2020. 9. 8. 16:49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등산객이 증가했지만 아웃도어업계는 여전히 실적 반등을 하지 못하는 모습이다. /사진=뉴스1 DB

올 초부터 시작된 등산 인기에 아웃도어업계가 기대감에 부풀었습니다.

2014년 정점을 찍고 줄곧 하산길을 걷던 시장에 긍정적인 변화가 예상돼서죠.

하지만 산린이도 침체된 시장을 살리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추락이 계속되며 기존 업체도 속속 사업을 철수하는 상황.

시장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아웃도어 잘 나간다고?… 업계 ‘갸웃’

온라인 쇼핑사이트 G마켓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1~6월) 등산·아웃도어 상품 판매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증가했습니다.

남성과 여성 등산의류는 각각 30%·31% 늘었고 ▲등산화 3% ▲등산잡화 1% 등 전체적으로 판매량이 신장했습니다.

등산용품 판매량이 반짝 늘었지만 업계 매출엔 영향이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뉴스1 DB

하지만 업계 실적엔 영향이 없었습니다.

▲노스페이스(영원아웃도어) ▲K2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F&F) ▲네파 ▲블랙야크(비와이엔블랙야크) ▲아이더 ▲코오롱스포츠 ▲컬럼비아 등 주요 브랜드 상반기 매출은 오히려 10% 안팎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류 소비가 위축된 상황에서 등산용품으로 매출을 끌어올리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이죠.

“지난해보다 좋은 상황은 아니다”

- 아웃도어업계 관계자

일부 가맹점에선 점주가 자기 몫의 이윤을 줄여 상품 할인 판매에 나선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등산족과 캠핑족이 늘었다던 지난 5~6월에도 장사는 안됐다”

- 한 아웃도어 브랜드 가맹점 직원

추락하는 아웃도어, 대기업도 포기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아웃도어업계는 내리막을 걷고 있었습니다.

삼성패션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아웃도어 시장 매출은 2014년 7조1600억원으로 정점을 찍고 2018년 2조5524억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지난해 역시 온화한 겨울 날씨 탓에 단가가 높은 외투 판매가 저조해 매출이 더 줄어든 것으로 파악됩니다.

/표=김민준 기자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업을 철수하는 업체도 늘고 있습니다.

스위스 명품 아웃도어 브랜드 ‘마무트’는 최근 국내 시장에서 사업을 포기했습니다.

2005년 수입을 통해 국내에 처음 선보인 마무트는 국내 아웃도어 시장의 잠재력을 보고 2013년 직접 진출했으나 고전을 면치 못했습니다.

패션 대기업마저 아웃도어에서 발을 빼고 있습니다.

삼성물산 패션부문은 지난 6월 ‘빈폴스포츠’ 사업 종료를 알렸습니다.

2012년 출시 후 8년 만입니다.

전국 빈폴스포츠 오프라인 매장 107개는 내년 2월까지 순차적으로 정리할 계획입니다.

앞서 LF도 지난해 프랑스 아웃도어 브랜드 ‘라푸마’ 사업을 15년 만에 접기로 결정했습니다.

업계에서는 라푸마가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연매출 2500억원가량을 올렸으나 최근 1000억원 미만으로 떨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

LF는 오프라인 매장 81개를 올해 안에 정리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밖에 ▲휠라아웃도어(휠라) ▲살로몬(신세계인터내셔날) ▲헨리헨슨(금강제화) ▲노스케이프(형지) ▲잭울프스킨(LS네트웍스) ▲섀르반(제로투세븐) 등이 줄줄이 아웃도어 사업을 접었습니다.

캐주얼에 치이고 레깅스에 밀리고

아웃도어 시장이 쪼그라든 이유는 경쟁이 격화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시장 성장기에 우후죽순 난립한 아웃도어 브랜드는 100여개에 이르렀고 결국 출혈 경쟁을 불러왔죠.

캐주얼 패션이 성장하고 골프웨어와 스포츠웨어까지 아웃도어 시장을 넘보면서 안팎에서 경쟁이 더욱 심화됐습니다.

실제로 한국섬유산업연합회에 따르면 10~20대가 주축인 캐주얼 패션 시장의 연간 성장세는 5%로 전 패션업종 중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면 아웃도어 의류는 ‘등산복’이나 ‘아저씨·아줌마 옷’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젊은층에게 외면받았습니다.

아웃도어시장은 최근 애슬레저룩에 밀리는 모습이다. 뮬라웨어(사진 왼쪽)와 같은 애슬레저 전문업체는 승승장구하고 있고 휠라(가운데), 신세계인터내셔날(오른쪽) 등 패션업체들도 애슬레저룩 생산에 뛰어들었다. /사진=각사

최근 등산 열풍에도 아웃도어 시장은 ‘애슬레저’룩에 치여 반등 기회를 빼앗겼습니다.

애슬레저는 운동(athletic)과 여가(leisure)의 합성어로 운동복과 일상복을 겸할 수 있는 옷차림을 말합니다.

요즘 산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는 레깅스가 대표적인 애슬레저 룩입니다.

▲젝시믹스 ▲안다르 ▲뮬라웨어 등 애슬레저 전문 업체가 등장하고 패션 대기업도 애슬레저 브랜드를 선보이면서 아웃도어 시장 입지는 점차 좁아졌습니다.

코로나19 사태로 외출이 줄면서 애슬레저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습니다.

외출복을 구매하는 대신 일상에서든 운동할 때든 착용 가능한 애슬레저 의류의 수요가 늘었기 때문인데요.

이에 젝시믹스(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의 올 상반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0% 급증했습니다.

뮬라웨어(뮬라)도 상반기 매출액이 220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296억원) 75%를 상반기에 달성했는데요.

안다르 상반기 매출도 전년 대비 47% 신장됐고 2분기부터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코로나19로 패션업계 불황이 이어지고 아웃도어업계 입지는 좁아지는 상황인데요.

아웃도어 시장의 재편 혹은 구조조정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능성 중심의 등산복에서 벗어나 라이프스타일 패션 의류로 변신하려는 ‘탈아웃도어’ 노력이 계속될 것”

- 패션업계 관계자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