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과 무관한 폐암 유발 돌연변이

조회수 2020. 9. 25. 17:35 수정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By 이웃집과학자

KAIST가 주영석 KAIST 의과학대학원 교수와 김영태 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 교수 공동 연구팀이 폐암을 일으키는 융합유전자 유전체 돌연변이의 생성 원리를 규명했다고 밝혔습니다. 흡연은 폐 선암의 가장 큰 발병 인자로 잘 알려졌지만 암 융합유전자 돌연변이(ALK, RET, ROS1 등에 의한 암 발생)는 대부분 비흡연자에게서 발견됐습니다. 융합유전자로 인한 환자는 전체 폐 선암 환자의 10% 정도를 차지하고 있지만 이 돌연변이의 생성 과정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거의 없었는데요.

출처: pixabay
흡연 이외의 돌연변이로 발생한 폐 선암의 생성 과정이 밝혀졌습니다.

이전까지의 폐 선암 유전체 연구는 주로 유전자 지역을 규명하는 '엑솜 서열분석 기법'이 사용됐으나 연구팀은 유전자 간 부분들을 총망라해 분석하는 '전장 유전체 서열분석 기법'을 대규모로 적용했습니다. 연구팀은 138개의 폐 선암(lung adenocarcinoma) 사례의 전장 유전체 서열 데이터(whole-genome sequencing)를 생성 및 분석해 암세포에 존재하는 다양한 양상의 유전체 돌연변이를 찾아냈습니다. 특히 흡연과 무관한 폐암의 직접적 원인인 융합유전자를 생성하는 유전체 구조 변이의 특성을 집중적으로 규명했습니다.


유전체에 발생하는 구조적 변이는 DNA의 두 부위가 절단된 후 서로 연결되는 단순 구조 변이와 DNA가 많은 조각으로 동시에 파쇄된 후 복잡하게 서로 재조합되는 복잡 구조 변이로 나눌 수 있는데요. 복잡 구조 변이는 암세포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DNA의 수백 부위 이상이 동시에 절단된 후 상당 부분 소실되고 일부가 다시 연결되는 ‘염색체 산산조각(chromothripsis)’ 현상이 대표적 사례죠. 연구팀은 70% 이상의 융합유전자가 '유전체 산산조각 (chromothripsis)' 현상 등 복잡 구조 돌연변이에 의해 생성됨을 확인했습니다. 또 연구팀은 정밀 유전체 분석을 통해 복잡 구조 돌연변이가 폐암이 진단되기 수십 년 전의 어린 나이에도 이미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세포의 유전체는 노화에 따라 비교적 일정한 속도로 점돌연변이가 쌓이는데 연구팀은 이를 이용하여 마치 지질학의 연대측정과 비슷한 원리로 특정 구조 변이의 발생 시점을 통계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융합유전자 발생은 폐암을 진단받기 수십 년 전 심지어는 10대 이전의 유년기에도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죠.


출처: KAIST
흡연과 무관한 폐암에서 융합유전자에 의한 생기는 발암 기전 개념도.

이는 암을 일으키는 융합유전자 돌연변이가 흡연과 큰 관련 없이 정상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는 사례인데요. 단일 세포가 암 발생 돌연변이를 획득한 후에도 실제 암세포로 발현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요인들이 오랜 기간 누적될 필요가 있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가 흡연과 무관한 폐암 발생 과정에 대한 지식을 한 단계 확장했다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향후 폐암의 예방과 선별 검사 정밀치료 시스템 구축 등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 시스템을 통해 유전체 빅데이터의 신속한 정밀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슈퍼컴퓨터 5호기는 향후 타 유전체 빅데이터 연구자들에게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번 연구로 흡연과 무관한 환경에서도 융합유전자로 인해 폐 선암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힌 것인 비흡연자의 폐암 발생원인을 규명하고 정밀치료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이번 연구에는 하버드 의과대학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국립암센터 연구자들도 함께 참여했습니다.


출처: KAIST
주영석 KAIST 교수.

주영석 교수는 "암유전체 전장서열 빅데이터를 통해 폐암을 발생시키는 첫 돌연변이의 양상을 규명했다"며 "정상 폐 세포에서 흡연과 무관하게 이들 복잡 구조변이를 일으키는 분자 기전의 이해가 다음 연구의 핵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김영태 교수는 "2012년 폐 선암의 KIF5B-RET 융합유전자 최초 발견으로 시작된 본 폐암 연구팀이 융합유전자의 생성 과정부터 임상적 의미까지 집대성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중요한 성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Cell>에 게재됐습니다.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