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 검색어 입력폼

"그 시간에 일했으면 성공하고도 남았겠다"

조회수 2018. 8. 20. 19:00 수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다양한 분야의 재밌고 유익한 콘텐츠를 카카오 플랫폼 곳곳에서 발견하고, 공감하고, 공유해보세요.

게으름을 자책하기 전 생각해볼 것들

게으름은 현대인의 주적 중 하나다. 때때로 게으름이 왜 나쁜 거냐며 게으름을 찬양하는 책들이 소개되곤 하지만, '게으름 상품'에 대한 수요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특히, 근로시간이 법적/제도적으로 줄고 ‘욜로’, ‘소확행’, ‘워라밸’ 등을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지속되는 한 더더욱 그렇다.

나는 게으름에 대한 책을 썼다

아는 사람은 알고 모르는 사람은 모르는 그런 책이지만, 그래도 예상보다 꽤 많은 판매량을 보였던 것 같다. 게으름 책 덕분에 외부 강연 의뢰도 늘었고 여기저기에서 협업 요청도 많이 받았다. 책의 주제는 게으름을 극복할 수 있는 심리학적 전략들이었다.


솔직해지자면 나는 게으름을 그렇게 나쁘게만 보지는 않는다. 그래서 책을 쓸 때 내가 가장 강조하고 싶었던 부분은 다름 아닌 맨 마지막 챕터, 그리고 에필로그였다. 무조건 게으름을 정복 대상으로만 보지 말고 ‘왜’ 게으름이 나타나는지 정녕 게으름 피우는 자기 자신과 타협할 수는 없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었다. 


내가 경계하는 것은 게으름 그 자체가 아니다. 그보다는 게으름에 수반되는 자기 비난들이다. 우리는 대개 게으름을 긍정하지 않는다. 그런데도 언제나 그랬듯 익숙하게 게으름을 선택한다. 신념과 행동의 불일치. 이 모순에서 합리화, 그리고 자기 비난이 피어나기 시작한다. ‘네가 그럼 그렇지, 언제 한 번 부지런히 해본 적이나 있었냐?’, ‘어휴, 진작 알아봤다. 그동안 게으름 피웠던 시간에 공부/일 열심히 했으면 지금쯤 성공하고도 남았겠다’, ‘너는 아무래도 진득하게 뭘 할 머리는 아닌 것 같다’, ‘그렇게 비루하게 살다 죽을래?’ 등.  


하필 비난의 근원지가 나 자신이다 보니 도망칠 구석이 없다. 게으름을 비난하는 나(A)는 별생각 없이 비난의 말들을 툭툭 던져대지만, 게으름을 피우고 있는 나(B)는 도무지 그 말들을 피할 재간이 없어 묵묵히 맞고 있는 것밖에 달리 도리가 없다. 그런데 문제는 내가 게으름 피운 세월이 단지 하루 이틀의 일이 아니라는 것. 필시 요, 게으름뱅이에 대한 비난은 그간 수도 없이 이어져 왔을 것이다. ‘너는 게으름뱅이야.’ 나(A)는 나(B)에게 낙인을 찍어버렸다. 끝나지 않는 게으름은 어쩌면 낙인 효과의 일종은 아닐지. 

낙인은 정체성을 규정한다

낙인으로 내면화된 정체성은 앞으로의 내 생각/행동의 방향을 이끄는 준거점이 된다. ‘범죄자’라는 낙인은 그를 더욱 대담한 범죄자로 내몬다. ‘무능한 사람’이라는 타인들의 무시는 타깃으로 하여금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하게 한다. 그렇다면 ‘게으름뱅이’는? 계속 게을러야 한다. 그게 내 정체성이다. 사람들이 알고 내가 아는 정체성이다. 그러니 ‘나 원래 이런 놈인 것 몰랐어?’, ‘나는 게으름뱅이니까 게으름을 피우는 것은 당연한 거야’ 해버리면 된다. 그렇게 ‘게으름 - 자기 비난 - 낙인 (효과) - 게으름 - …’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중학생 시절이었는지 고등학생 시절이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봄방학이 끝나고 이제 막 찾아온 새 학기의 여파로 한창 어수선할 무렵 각 학급에서는 반장 선거, 그리고 급훈을 선정하는 시간이 있었다. 그런데 내가 다니던 학교에서는 각 학급이 자율적으로 급훈을 지어보되 잘 지은 급훈에 대해서는 상을 주게 돼 있었다. 그래서 그 해도 각종 기상천외한 급훈들이 줄을 이었다. 창의적인 급훈도 있었고 상 따위에는 관심이 없다는 듯 진부하기 짝이 없는 급훈도 있었다. 그런데 그 가운데 내 눈길을 사로잡는 급훈 하나가 있었다.

할 땐 팍 쉴 땐 푹

공부할 때는 열심히 하고 쉴 때는 최선을 다해 쉬자는 뭐 그런 뜻이었던 거 같다. 왜 나는 저 급훈이 인상적이었을까? 곰곰이 생각해보면 아마도 그 급훈이, 다른 급훈들이 가지지 못했던 특별한 가치 하나를 담고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정공법이든 유쾌한 풍자와 비유이든 어쨌든 그 외 다른 급훈들이 전달하는 메시지의 본질은 같았다. ‘공부 열심히 하자’, ‘부지런해지자’, ‘부모님, 선생님 등 ‘님’ 말씀 잘 듣자’와 같은 것들. 그런데 ‘할 땐 팍 쉴 땐 푹’이란다. 공부하자는 것을 빼놓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내게 ‘쉬자’고, ‘쉬어도 된다’고 기왕 쉴 거면 ‘푹 쉬어도 된다’고 내게 말해준 유일한 급훈이었다.


요즘 게으름을 피우는 스스로를 힐난하면서 생각해보게 된다. 이렇게 재깍재깍 비난해대는 것이 과연 나에게 무슨 도움이 되는가 싶었다. 자책하는 것이 하루 이틀 일도 아니고 이제 스스로에게 욕 들어 먹는 일에는 이골이 났는데 그깟 비난들 던져봐야 게으름을 쉽게 포기할 수 없다는 것이 솔직한 내 심정이었다. 그래도 비난은 비난인 거다. 놀면서 쉬면서 불안하고 어딘지 모르게 쓰라리다. 찜찜해지고 보고 있던 유튜브 영상, 게임 화면, 드라마 화면이 잘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정말 이래서는 이도 저도 아니구나

이건 쉬는 것도 아니고 일하는 것도 아니다. 차라리 그렇게 불편할 것이면 일을 하던가, 일을 못 하겠으면 있는 힘껏 즐기거나 쉬든가. 그렇지 않은 하루하루가 반복되다 보니 찜찜한 기분이 가시지를 않는다. 퇴사 후 규칙적인 생활이 망가져서 유독 일을 잡기도 마냥 놀기도 애매한 요즘에 나는 과거 학창 시절에 보았던 그 급훈을 문득 떠올리게 되었다. ‘할 땐 팍 쉴 땐 푹’. 이 뜻 좋은 말을 왜 그동안 잊어먹고 살았는지. 그래서 나는 이제부터 나에게 조금 다른 미션을 주기로 했다.


일 열심히 하자? 게으름 피우지 말자? 아니다. 일도 하고 게으름도 피워라. 단, 한 번에 하나만 해라. 둘 다 하려니 내 하루 동안 일을 제대로 한 것 같지도 않고 휴식과 여가를 제대로 취한 것 같지도 않다. 도무지 뭔가를 ‘했다’는 느낌이 들지를 않고 매사 ‘하다 만 듯’ 흐릿하니 내 인생이 참 애매하다.

* 외부 필진 허용회 님의 기고 글입니다.

<직썰 추천기사>

나라가 자꾸 망하는 이유

이 콘텐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